페르디낭 드 소쉬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페르디낭 드 소쉬르는 1857년 제네바에서 태어난 스위스의 언어학자이다. 그는 20세기 언어학 발전에 큰 영향을 미쳤으며, 구조주의 언어학의 핵심 원리를 제시했다. 소쉬르는 언어 기호의 임의성, 공시태와 통시태의 구분, 랑그와 파롤의 개념 등을 통해 언어 현상을 분석했다. 그의 사후 제자들이 강의 내용을 엮어 출판한 《일반언어학 강의》는 20세기 언어학의 중요한 저서로 평가받으며, 기호학, 문화인류학, 철학 등 다양한 분야에 영향을 미쳤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스위스의 언어학자 - 르네 드 소쉬르
르네 드 소쉬르는 스위스의 수학자이자 에스페란토 옹호론자, 인공어 연구가로, 언어학자 페르디낭 드 소쉬르의 동생이며, 에스페란토 형태론 연구, 국제 통화 스페스밀로 제안, 그리고 만년에는 에스페란토 개량안 연구 및 인테르링구아 표준화 작업에 참여했다. - 스위스의 언어학자 - 에밀 슈타이거
에밀 슈타이거는 스위스 출신의 독일 문학 연구가로, 취리히 대학교에서 교수로 재직하며 문학 텍스트 자체에 집중하는 비평 스타일로 독일 문학에 기여했고, 고대 및 현대 언어 번역가로 활동하며 여러 저서와 상을 수상했다. - 페르디낭 드 소쉬르 - 기표와 기의
기표와 기의는 소쉬르가 제시한 기호의 두 요소로, 기표는 감각으로 인지 가능한 형태, 기의는 기표가 나타내는 개념이나 의미를 뜻하며, 이는 다양한 학문 분야에 영향을 미쳤다. - 페르디낭 드 소쉬르 - 일반언어학 강의
일반언어학 강의는 소쉬르의 제자들이 그의 강의 노트를 바탕으로 편집하여 출간한 책으로, 랑그와 빠롤, 기표와 기의, 공시태와 통시태 등의 개념을 제시하며 현대 언어학의 기초를 다지고 구조주의 사상에 큰 영향을 미쳤으나, 내용 정확성에 대한 비판도 있다.
페르디낭 드 소쉬르 | |
---|---|
기본 정보 | |
![]() | |
이름 | 페르디낭 드 소쉬르 |
출생일 | 1857년 11월 26일 |
출생지 | 제네바, 스위스 |
사망일 | 1913년 2월 22일 |
사망지 | 뷔플랑르샤토, 보주, 스위스 |
![]() | |
학력 | |
교육 | 제네바 대학교 라이프치히 대학교 (Ph.D, 1880) 베를린 대학교 |
소속 기관 | EPHE 제네바 대학교 |
철학적 배경 | |
학파 및 전통 | 구조주의 언어철학적 전환 기호학 |
주요 관심사 | 언어학 |
주요 사상 | |
주요 사상 | 구조언어학 기호학 랑그와 파롤 기표와 기의 통시태와 공시태 언어 기호 기호의 자의성 후두음 이론 |
영향 | |
영향을 준 인물 | 에밀 뒤르켐 아우구스트 레스키엔 하인리히 지머 헤르만 올덴베르크 |
영향을 받은 인물 | 로랑 바르트 클로드 레비스트로스 자크 라캉 루이 알튀세르 미셸 푸코 자크 데리다 에르네스토 라클라우 레너드 블룸필드 앙투안 메예 에밀 뱅베니스트 로이 해리스 로만 야콥슨 모리스 메를로퐁티 루이스 옐름슬레우 존 루퍼트 퍼스 윌리엄 라보프 얀 무카르조프스키 워커 퍼시 프라하 학파 |
2. 생애
소쉬르는 1857년 제네바에서 태어났다. 그의 아버지 앙리 루이 프레데리크 드 소쉬르는 광물학자이자 곤충학자였다.[12] 소쉬르는 14세 때부터 상당한 재능과 지적 능력을 보였다.[12]
제네바 대학교에서 라틴어, 고대 그리스어, 산스크리트어를 공부하고 다양한 강좌를 수강했다. 1876년 10월 라이프치히 대학교 대학원 과정을 시작했고, 2년 후 "인도-유럽어의 원시 모음 체계에 관한 논문"을 출판했다. 베를린 대학교에서 켈트어와 산스크리트어 공부를 계속했다.[18] 1880년 2월, 박사 학위 논문 "산스크리트어에서 절대 소유격의 사용에 관하여"로 박사 학위를 받았다. 이후 파리 대학교로 옮겨 산스크리트어, 고트어, 고대 고지 독일어 등을 강의했다.
고등 실용 연구원에서 11년 동안 가르치며 레지옹 도뇌르 훈장 기사 훈장을 받았다.[21] 1892년 제네바 대학교 교수직 제안을 받고 스위스로 돌아와 산스크리트어와 인도-유럽어를 강의했다. 1907년부터 1911년 여름까지 일반 언어학 강좌를 세 번 개설했다. 1913년 스위스 보주 뷔플랑르샤토에서 사망했다.
형제로는 언어학자이자 에스페란토 운동가인 르네 드 소쉬르와 고대 중국 천문학 학자인 레오폴드 드 소쉬르가 있었다. 아들 레이몽 드 소쉬르는 정신과 의사이자 정신 분석 이론가였다.[22]
2. 1. 가문 배경
소쉬르 가문은 프랑스 로렌 지방 출신으로, 종교 개혁 시기에 신교로 개종하여 스위스 제네바로 이주했다. 소쉬르 가문은 대대로 학자를 배출했는데, 증조부 오라스 베네딕트 드 소쉬르는 몽블랑 첫 등정으로 유명한 자연과학자였고, 아버지 앙리는 곤충학자였다.[12]2. 2. 유년 시절 및 교육
페르디낭 드 소쉬르는 1857년 제네바에서 태어났다. 그의 아버지 앙리 루이 프레데리크 드 소쉬르는 광물학자이자 곤충학자였다.[12] 소쉬르는 어린 시절부터 독일어, 영어, 라틴어, 고대 그리스어 등 여러 언어를 습득하며 언어에 대한 재능을 보였다. 14세 때 아돌프 피크테에게 언어 연구에 대한 조언을 받았다. 피크테에게 제출한 논문은 실패했지만, 이를 계기로 소쉬르는 2년 정도 언어학에서 멀어졌다가 1875년에 제네바 대학교에 입학하여 화학과 물리학을 공부하면서도 언어학에 대한 관심을 이어갔다. 이과 계열 학생이었지만, 모렐의 언어학 수업을 듣는 등 점차 언어학에 대한 관심을 높여갔다.1876년 파리 언어 학회(Société de Linguistique de Paris)에 입회하여 10대에 논문을 투고했지만, 이 무렵의 논문에는 소쉬르 고유의 생각은 보이지 않았다. 같은 해, 라이프치히 대학교로 유학하여 당시 최첨단 인도유럽어학 연구자들과 교류하며 청년문법학파의 영향을 받았다.
1878년 7월, 소쉬르는 라이프치히를 떠나 베를린 대학교로 옮겼다. 베를린에서는 윌리엄 드와이트 휘트니를 만났고, 소쉬르는 휘트니로부터 평생에 걸쳐 큰 영향을 받았다. 1879년 가을에는 다시 라이프치히 대학교로 돌아왔고, 1880년 2월에 박사 학위 논문 「산스크리트어에서의 절대 속격의 용법에 관하여」[81]를 제출하여 교수진으로부터 만장일치로 박사 학위를 받았다.
2. 3. 파리 시절
1880년 10월부터 파리 고등사범학교 학생이 되었지만, 1881년 10월에는 브레알(Breal)에게 그의 재능을 인정받아 "고트어 및 고대 고지독일어" 강사가 되었다.[82] 1887년부터 1888년까지는 그리스어와 라틴어의 비교 문법을, 1889년에는 리투아니아어를 강의했는데, 9년간 총 112명의 학생이 그의 강의를 들었으며, 이는 소쉬르 강의의 인기를 보여준다.[82] 메예(Meillet)의 증언에 따르면, 이 무렵의 강의에는 이미 후대의 언어 이론을 엿볼 수 있다.[82] 파리 시절 강의에서는 훗날 프랑스 언어학을 이끈 폴 파시(Paul Passy), 모리스 그라몽(Maurice Grammont), 앙투안 메예(Antoine Meillet) 등이 배출되었다.[82]17세에 가입한 파리 언어학회에서도 활발하게 활동했다. 1882년에는 학회 부간사가 되어, 「파리 언어학회 회보」의 사실상 편집장을 역임했다.[82] 카잔 학파를 개척한 얀 보두앵 드 쿠르트네(Jan Baudouin de Courtenay)와도 학회에서 만났다. 카잔 학파의 이론은 소쉬르의 이론과 공통점이 지적되고 있으며, 소쉬르 자신도 쿠르트네와 그의 제자 쿠르셰프스키(Kruszewski)를 높이 평가했다.[82]
1889년부터 1년간의 휴가를 얻어 고향 제네바로 돌아갔다. 이 기간에 리투아니아를 방문했다는 말도 있지만, 확실한 것은 알 수 없다.[82]
1891년에는 브레알이 소쉬르를 후계자로 삼아 콜레주 드 프랑스의 정교수 자리를 주려고 했다.[82] 그러나 고향 제네바 대학교에서도 교수직이 마련되어 있었고, 소쉬르는 고민 끝에 제네바로 돌아가기로 결정했다. 이 결정의 배경에는 프랑스-프로이센 전쟁 이후의 애국심 고조, 귀족 소쉬르 가문 일원으로서의 의무감[82]이 있었다고 지적된다. 파리를 떠날 때는 브레알과 가스통 파리스(Gaston Paris)의 주선으로 프랑스 학사원으로부터 레지옹 도뇌르 훈장을 수여받았다.[82]
2. 4. 제네바 시절
1891년 10월, 페르디낭 드 소쉬르는 제네바 대학교의 비교언어학 특임교수가 되었다.[23] 1892년 3월, 제네바의 부유한 집안의 딸 마리 페슈(Marie Fisch)와 결혼하여 슬하에 1892년에 장남 자크(Jacques), 1894년에 차남 레이몽(Raymond)을 두었다.제네바 대학교에서 소쉬르의 강의는 주로 산스크리트어와 인도유럽어에 관한 것이었으며, 일반언어학 강의는 1907년, 1908-1909년, 1910-1911년의 세 차례만 진행했다. 그러나 1890년대 전반 강의에도 일반언어학의 여러 원리가 나타났다.
1894년 제네바 대학교에서 제10회 동양학자 회의가 개최되었고, 소쉬르는 사무국장을 맡았다. 이 회의에서 소쉬르는 후에 "소쉬르의 법칙"이라고 불리는 비교언어학상의 발견을 발표했지만, 이것이 그의 비교언어학 연구의 마지막 업적이 되었다.
이후 소쉬르는 일반언어학 연구의 어려움을 토로하며, 게르만 신화 연구, 지명 연구, 시의 애너그램 연구 등 주변 분야 연구 자료를 많이 남겼다.
1906년, 소쉬르는 베르트하이머(Wertheimer)의 퇴임으로 일반언어학 강의를 맡게 되었다. 이 일반언어학 강의는 세 번 있었고, 이 강의들을 정리한 것이 일반언어학 강의로 나중에 출판되었다. 1912년 여름, 소쉬르는 건강이 악화되어 요양에 들어갔으며, 1913년 2월 22일에 사망하였다.
3. 주요 업적 및 이론
소쉬르는 언어학에서 공시 언어학과 통시 언어학을 처음 도입한 인물이다. 그의 사후(1916년)에 제자들이 강의 노트를 편집하여 출판한 《'''일반언어학 강의'''》는 그의 주요 저서이다.
소쉬르는 20세기 전반부 언어 이론 발전에 큰 영향을 미쳤으며, 그의 개념은 구조주의 언어학의 중심 원리에 통합되었다. 특히 언어 기호의 임의성(arbitrariness of the linguistic sign) 개념이 대표적이다.[28] 그는 추상적이고 보이지 않는 계층인 '랑그(langue)'와 실제 생활에서 듣는 실제 언어인 '파롤(parole)'이라는 두 단계 현실 이론을 제시했다.[29] 이 틀은 클로드 레비스트로스가 신화의 현실을 결정하는 데 사용하기도 했다.[29]
소쉬르 사후 유럽에서는 프라하 학파가 그의 연구를 이어받았다. 니콜라이 트루베츠코이와 로만 야콥손은 음운 이론의 방향을 설정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루이 엘름슬레프와 코펜하겐 학파는 구조주의 이론적 틀에서 언어학에 대한 새로운 해석을 제시했다.
미국에서는 소쉬르의 사상이 레너드 블룸필드의 분포주의(distributionalism)에 영향을 주었지만, 그 영향력은 제한적이었다.[30][31] 체계 기능 언어학(Systemic functional linguistics)은 소쉬르의 기호 원리에 기반을 둔 이론으로 평가받는다. 마이클 할리데이는 소쉬르가 "기호의 임의성(l'arbitraire du signe)"이라는 문구를 사용하여 언어의 관습적인 본성을 표현했다고 설명한다.[32]
소쉬르는 언어를 '사회적 사실'로 다루었으며, 언어 집단의 집단적 마음속에 위치한다고 보았다. 그는 개인은 언어의 규범적 규칙을 배우지만 통제할 수는 없다고 설명했다. 또한 사회 다윈주의와 민족정신(Volksgeist) 사상에 대해서는 비판적인 입장을 취했다.[45][46][47]
3. 1. 인도유럽어 연구
소쉬르는 초기 연구에서 인도유럽어족의 모음 체계를 재구성하는 데 중요한 기여를 했다. 1878년 베를린 대학교 재학 중, 《인도유럽어족의 모음 원시 체계에 관한 각서》[80]를 발표했다. 이 논문에서 소쉬르는 인도유럽 조어의 모음 조직에 관하여 통일적인 상정을 제시했다.[79] 이때 의 나타남을 설명하기 위해 그가 생각한 '자음적인 추가 음'이 후의 후두음 이론으로 이어졌고, 히타이트어 해독에 의해 현실적인 것이 되었다.젊은이 문법학파의 제자였으나 그들의 이성과 존재론을 그대로 따르지 않고 전근대적인 접근 방법을 취하였다. 언어 현상을 전체로서 체계 속에서 고찰하였다. 소쉬르의 최초 논문이자 가장 중요한 저작인 1878년의 《인도유럽어족 원시 모음체계에 관한 논문》에서 인도유럽어족의 음성체계에는 이미 알려진 음 이외에 소멸한, 음가를 알 수 없는 한 음이 있었다고 가정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하였다.
1941년 덴마크의 한스 프레데리크 헨드릭센(Hans Frederik Hendriksenda)이 히타이트어를 연구하는 과정에서 소쉬르가 언급한 바로 그 위치에서 후두음을 발견함에 따라 소쉬르의 이론의 정당성은 확고해졌다. 이 이론은 후두음 이론으로 널리 알려져 있다. 소쉬르의 원시 인도-유럽어 음성 체계에 대한 이론적 재구성, 특히 당시에는 확인되지 않았던 그의 후두음 이론은 후대 언어학자들의 연구를 통해 결실을 맺고 확인되었다. 에밀 벤베니스트와 발터 쿠브뢰르와 같은 언어학자들은 1878년 소쉬르의 "회고록"을 직접적으로 참고하여 연구하였고, 특히 히타이트어 해독 이후 그들의 연구는 결실을 맺었다.[27]
히타이트 문서가 발견되고 해독된 후, 폴란드 언어학자 예르지 쿠릴로비치는 소쉬르가 약 48년 전에 소실된 음소라고 이론화했던 자리에 히타이트 자음이 있다는 것을 인지하여 이 이론을 확인했다.
3. 2. 언어와 사회
소쉬르는 언어를 '사회적 사실'로 다루었는데, 이는 당시 논쟁적인 주제였다.[42] 그는 언어를 사회 공동체의 산물로 보았으며, 언어 집단의 집단적 마음속에 위치한다고 설명했다. 개인은 언어의 규범적 규칙을 배우지만, 그것을 통제할 수는 없다.소쉬르는 언어를 살아있는 유기체에 비유하기도 했다. 그러나 아우구스트 슐라이허와 막스 뮐러가 언어를 생존 경쟁을 하는 유기체로 보는 견해는 비판했다.[50] 그는 언어의 '유기체' 연구가 그 영토에 대한 적응을 배제하는 한, 언어학을 자연 과학으로 보는 아이디어를 수용했다.[50]
또한 소쉬르는 사회 다윈주의와 민족정신(Volksgeist) 사상에 대해서는 비판적인 입장을 취했다.[45][46][47] 그는 이러한 사상들이 국수주의적이고 인종주의적인 유사과학으로 이어질 수 있다고 경계하며, 어떠한 쇼비니즘적 해석도 배제하고자 했다.[50][45]
4. 영향 및 유산
페르디낭 드 소쉬르는 구조주의 언어학의 창시자로 널리 알려져 있으며, 그의 이론은 20세기 언어학과 인문학 전반에 큰 영향을 미쳤다. 소쉬르 사후, 그의 제자들인 샤를 발리와 알베르 세슈에는 소쉬르의 강의 노트를 모아 1916년 《일반언어학 강의》를 출판하여 그의 이론을 널리 알렸다.
소쉬르의 언어 이론은 랑그와 파롤, 기호의 자의성, 공시태와 통시태 등의 개념을 중심으로 전개되며, 이는 언어를 체계적으로 분석하는 데 중요한 기반을 제공했다. 그의 구조주의적 접근은 언어학뿐만 아니라 인류학, 문학 비평, 정신 분석 등 다양한 분야에 영향을 미쳐, 클로드 레비스트로스, 롤랑 바르트, 자크 라캉과 같은 학자들에게 영감을 주었다.
4. 1. 비판 및 논쟁
생성 문법 학파는 소쉬르의 구조주의를 비판하며, 언어학이 인지 과학의 일부라고 주장했다.[56] 이들은 언어 구조가 인간 게놈의 무작위 돌연변이 발현이라고 주장했다.[56] 얀 코스터는 촘스키 혁명 이후 언어학의 개념적 변화로 인해 소쉬르가 거의 잊혀졌다고 주장했다.[57]인지언어학, 구성 문법, 사용 기반 언어학, 창발 언어학 등 일부 기능주의 언어학 진영에서는 소쉬르의 유기체 비유를 비판하고, 밈 이론[61] 등 다윈주의적 관점에서 언어를 설명하려고 시도했다.[62][63] 윌리엄 크로프트는 언어를 완벽하게 적응된 '유기적' 시스템으로 보는 소쉬르의 관점을 비판했다.[64]
그러나 구조-기능 언어학에서는 소쉬르의 구조주의를 여전히 유효한 이론적 틀로 간주하고 있다.[70][71] 헤닝 안데르센은 밈 이론과 기타 문화 진화 모델을 비판하며, '적응' 개념이 생물학과 같은 의미로 언어학에서 사용되어서는 안 된다고 지적한다.[49]
5. 주요 저서
- (1878) 《인도유럽어족 원시 모음체계에 관한 논문》(Mémoire sur le système primitif des voyelles dans les langues indo-européennes). 라이프치히: 토이브너. (프랑스 국립도서관 Gallica 프로그램 온라인 버전: http://gallica2.bnf.fr/ark:/12148/bpt6k729200)
- (1881) 《산스크리트어에서의 절대 소유격의 용법에 관하여: 라이프치히 대학교 철학부에 제출된 박사 학위 논문》(De l'emploi du génitif absolu en Sanscrit: Thèse pour le doctorat présentée à la Faculté de Philosophie de l'Université de Leipzig). 제네바: 쥘-기욤 픽. (인터넷 아카이브 온라인 버전: https://archive.org/details/delemploidugni00sausuoft)
- (1916) 《일반언어학 강의》(Cours de linguistique générale), 발리와 세셰 편집, 알베르 리들링거의 도움. 로잔-파리: 파요.
- 1차 번역: 웨이드 바스킨 역, 《일반언어학 강의》(Course in General Linguistics). 뉴욕: 철학회, 1959; 이후 페리 마이젤과 하운 소시 편집, 뉴욕: 컬럼비아 대학교 출판부, 2011.
- 2차 번역: 로이 해리스 역, 《일반언어학 강의》(Course in General Linguistics). 일리노이주 라살: 오픈코트, 1983.
- (1922) 《F. 드 소쉬르의 과학 출판물 모음》(Recueil des publications scientifiques de F. de Saussure). 샤를 발리와 레오폴드 고티에 편집. 로잔-제네바: 파요.
- (1993) 《소쉬르의 제3차 일반언어학 강의 (1910-1911): 에밀 콩스탕탱의 노트에서》(Saussure's Third Course of Lectures in General Linguistics (1910–1911) from the Notebooks of Emile Constantin). (언어와 의사소통 시리즈, 12권). 에이스케 코마츠 편집, 로이 해리스 번역. 옥스퍼드: 퍼거먼 출판사.
- (1995) 《음성학: 하버드 후턴 도서관 bMS Fr 266 (8)의 필사본》(Phonétique: Il manoscritto di Harvard Houghton Library bMS Fr 266 (8)). 마리아 피아 마르케세 편집. 파도바: 유니프레스.
- (2002) 《일반언어학 저술》(Écrits de linguistique générale). 시몽 부케와 루돌프 엥글러 편집. 파리: 갈리마르.
- 번역: 캐롤 샌더스와 매슈 피레스 역, 《일반언어학 저술》(Writings in General Linguistics). 뉴욕: 옥스퍼드 대학교 출판부, 2006. (이 책은 대부분 루돌프 엥글러가 이전에 출판한 자료로 구성되어 있으며, 1996년 제네바에서 발견된 "언어의 이중 본질"이라는 제목의 소쉬르 원고 페이지 집합에서 텍스트를 재구성하려는 시도를 포함한다. 이 페이지에는 엥글러의 『일반언어학 강의』 비평판과 1995년 마리아 피아 마르케세가 출판한 소쉬르의 또 다른 미완성 저술 원고에서 소쉬르 학자들에게 이미 친숙한 아이디어가 담겨 있다.)
- (2013) 《호메로스의 아나그램》(Anagrammes homériques). 피에르-이브 테스테누아르 편집. 리모주: 람베르 루카스.
- (2014) 《편지로 보는 한 평생 1866 – 1913》(Une vie en lettres 1866 – 1913). 클라우디아 메히아 키하노 편집, 누벨 세실 드포 편집.
소쉬르는 생전 단 한 권의 저서도 출판하지 않았다. 하지만 말년인 1906년부터 1911년까지 제네바 대학교에서 일반 언어학에 관한 강의를 세 차례 진행했는데, 이때 그의 제자가 된 발리와 세셰가 정리한 『일반언어학강의』(Cours de linguistique générale)가 출판되었다. 다만, 그들은 제네바 대학교의 다른 강의에 참석했기 때문에 직접 수강한 것은 아니다. 직접 강의를 들은 학생들의 강의 노트는 에디트 파르크에 의해 1회부터 3회까지 모두 출판되었다.
일본에는 고바야시 히데오의 일본어 번역 초판이 소쉬르(Ferdinand de Saussure) 저 『언어학 원론』이라는 제목으로 1928년에 오카 서원에서 출판되었다. 이후, 출판사를 이와나미 쇼텐으로 바꾸어 1972년 간행된 개역판은 『일반언어학강의』라는 제목으로 출판되었다.
참조
[1]
서적
Bergson, Complexity and Creative Emergence
Springer
[2]
사전
Saussure, Ferdinand de
http://www.lexico.co[...]
Oxford University Press
2020-07-12
[3]
서적
A Short History of Linguistics
Longman Linguistics Library
[4]
서적
Landmarks in Linguistic Thought: The Western Tradition from Socrates to Saussure
[5]
서적
Makers of modern culture
Routledge
[6]
서적
Modern Criticism and Theory: A Reader
Pearson Education
[7]
서적
Fifty Key Thinkers on Language and Linguistics
Routledge
[8]
서적
Key Thinkers in Linguistics and the Philosophy of Language
Edinburgh University Press
[9]
서적
Handbook of Semiotics
Indiana University Press
[10]
서적
Language, Saussure and Wittgenstein
Routledge
[11]
논문
Cours de Linguistique Générale by Ferdinand de Saussure, Charles Bally and Albert Sechehaye
https://www.jstor.or[...]
[12]
서적
Некоторые полузабытые страницы из истории языкознания – Ф. де Соссюр и У. Уитней
Москва
[13]
서적
Saussure
Oxford University Press
[14]
서적
Saussure
https://books.google[...]
OUP Oxford
2012-03-22
[15]
서적
Economies of English
Narr Francke Attempto Verlag
[16]
서적
Saussure
https://books.google[...]
OUP Oxford
2012-03-22
[17]
서적
History of Universities: Volume XXXIV/1
Oxford University Press
[18]
서적
[19]
논문
Aaccentuation lituanienne
[20]
서적
Beiträge zur Kunde der littauischen Sprache. Erstes Heft: Deutsch-littauische Phraseologie der Präpositionen. Königsberg 1843, Zweites Heft: Laut- und Tonlehre der littauischen Sprache. Königsberg 1849
https://books.google[...]
[21]
서적
[22]
논문
Raymond de Saussure. First president of the European Psychoanalytical Federation
[23]
서적
Recueil des publications scientifiques de F. de Saussure
Payot
[24]
서적
Les mots sous les mots. Les anagrammes de Ferdinand de Saussure
Gallimard
[25]
서적
Anagrammes homériques
Lambert Lucas
[26]
논문
Saussure contre le Cours
Lambert-Lucas
[27]
논문
The Place of Saussure's Memoire in the development of historical linguistics
John Benjamins Publishing
[28]
서적
A Handbook of Media and Communication Research: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Methodologies
Routledge
[29]
서적
Michel Foucault
Bloomsbury
[30]
서적
From Whitney to Chomsky: Essays in the History Of American Linguisitcs
https://books.google[...]
John Benjamins Publishing
[31]
논문
Early formalization tendencies in 20th-century American linguistics
https://pure.mpg.de/[...]
Walter de Gruyter
2020-07-06
[32]
서적
Ideas about Language
Continuum
[33]
서적
The Penguin dictionary of critical theory
Crane Library at the University of British Columbia
[34]
서적
Semiotics: The Basics
Routledge
[35]
웹사이트
Semiotics for Beginners: Signs
https://www.cs.princ[...]
2022-05-05
[36]
서적
Key Terms in Semiotics
A&C Black
2006-06-02
[37]
서적
Handbook of Semiotics
https://salahlibrary[...]
Indiana University Press
2020-09-24
[38]
학술지
The arbitrary nature of the sign
1989
[39]
학술지
On the project of a universal language in the framework of the XVII century philosophy
http://logika.uwb.ed[...]
2020-05-25
[40]
서적
Metamodernism: the future of theory
https://www.worldcat[...]
2021
[41]
서적
Prolegomena to a Theory of Language
University of Wisconsin Press
1969
[42]
서적
History of Structuralism, Vol.1: The Rising Sign, 1945-1966 Present; translated by Edborah Glassman
https://monoskop.org[...]
University of Minnesota Press
1997
[43]
서적
Metamodernism: the future of theory
https://www.worldcat[...]
2021
[44]
서적
Markedness in synchrony and diachrony
De Gruyter
1989
[45]
학술지
The mind of the nation: the debate about Völkerpsychologie
https://discovery.uc[...]
2020-07-08
[46]
서적
Biology as Society, Society as Biology: Metaphors
Springer
2013
[47]
서적
Ethnolinguistics and Cultural Concepts: Truth, Love, Hate and War
Cambridge University Press
[48]
서적
Prague Linguistic Circle Papers, Vol. 3
John Benjamins
[49]
서적
Competing Models of Linguistic Change : Evolution and Beyond
John Benjamins
2006
[50]
서적
Course in general linguistics
https://monoskop.org[...]
Philosophy Library
2020-05-25
[51]
서적
History of the Language Sciences, Vol. 3
De Gruyter
2006
[52]
서적
From Whitney to Chomsky: Essays in the History of American Linguistics
John Benjamins
[53]
서적
The Oxford Handbook of the History of Linguistics
Oxford University Press
2013
[54]
서적
Western linguistics: An historical introduction
Wiley-Blackwell
[55]
학술지
Sociobiology and you
https://www.thenatio[...]
2020-02-25
[56]
서적
Why Only Us: Language and Evolution
MIT Press
2015
[57]
문서
Saussure meets the brain
http://www.let.rug.n[...]
R. Jonkers, E. Kaan, J. K. Wiegel, eds., Language and Cognition 5. Yearbook 1992 of the Research Group for Linguistic Theory and Knowledge Representation of the University of Groningen, Groningen
[58]
서적
History of Structuralism, Vol.2: The Sign Sets, 1967- Present; translated by Edborah Glassman
https://monoskop.org[...]
University of Minnesota Press
1997
[59]
학술지
General Grammar vs. Universal Grammar: an unbridgeable chasm between the Saussureans and Chomsky
https://hal.archives[...]
2020-05-25
[60]
서적
On Looking into Words (and Beyond): Structures, Relations, Analyses
https://langsci-pres[...]
SUNY Press
2020-03-03
[61]
서적
Sociocultural Situatedness, Vol. 2
De Gruyter
2008
[62]
서적
Functionalism and Formalism in Linguistics, Vol. 1
John Benjamins
[63]
서적
Handbook of Language Emergence
Wiley
2015
[64]
학술지
Functional-typological theory in its historical and intellectual context
1993
[65]
학술지
Functionalism yes, biologism no
[66]
학술지
On Coseriu's legacy
http://www.romling.u[...]
2020-01-14
[67]
서적
Perspectives from Systemic Functional Linguistics
Routledge
2018
[68]
학술지
Thèses de Prague 2016
http://www.revue-tex[...]
2020-05-25
[69]
학술지
Saussurean structuralism and cognitive linguistics
https://www.persee.f[...]
2020-06-29
[70]
서적
Functionalism in Linguistics
John Benjamins
1987
[71]
서적
Structure and Function: A Guide to Three Major Structural-Functional Theories, part 1
https://edisciplinas[...]
John Benjamins
2020-01-19
[72]
서적
Functionalism in Linguistics
John Benjamins
1987
[73]
웹사이트
ブリタニカ国際大百科事典 小項目事典の解説
https://kotobank.jp/[...]
コトバンク
2018-02-12
[74]
문서
구조주의 언어학 관련 설명
[75]
문서
조르주 무낭의 저서 관련 설명
[76]
문서
Essai pour réduire les mots du Grec, du Latin & de l'Allemand à un petit nombre de racines
[77]
문서
KAP의 의미 설명
[78]
문서
인도유럽조어 어근 설명
[79]
문서
논문 제목 2개
[80]
논문
Mémoire sur le système primitif des voyelles dans les langues indo-européenes
http://gallica.bnf.f[...]
[81]
문서
De l'emploi du génitif absolu en sanskrit
[82]
문서
프랑스 국적 취득 관련 설명
[83]
문서
연구 성과 관련 설명
[84]
서적
새로 쓴 대중문화의 패러다임
한나래
2010
[85]
백과사전
네이버 지식백과
커뮤니케이션북스
2013-02-2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